-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3년 청년 마음건강 박람회 1일차 ‘청년을 위한 희망 토크 콘서트’ 성황리 종료
서울-서울시자살예방센터가 11월 28일(화) 박람회 1일차 ‘청년을 위한 희망 토크 콘서트: 그대도 오늘 누군가에게 희망이었다’를 통해 청년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전했다.올해로 3년째 진행되는 청년 마음건강 박람회는 심리·정서상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세대 교류와 공감을 통해 위로와 격려를 전할 수 있는 소통의 장으로 진행됐다. 이번 박람회는 11월 28일(화) 청년을 위한 희망 토크콘서트와 12월 1일(금) 세바시(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와 함께하는 청년을 위한 희망 북클럽으로 2일간 진행되고 있다.청년 마음건강 박람회 1일차는 크게 2개 코너로 진행됐으며, 청년 자살예방 실천활동을 소개하는 코너와 세대 공감 특집강연으로 꾸며졌다.2023년 7월부터 청년 자살예방 활동을 전개했던 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 활동가의 청년들에게 힘이 돼 줄 수 있는 메시지 ‘청년이 듣고 싶은 말’로 포문을 열었으며, 올해 청년 실천활동으로 진행됐던 온라인상에서 자살, 자해 유해 게시물 모니터링 활동에 대한 소개가 이어졌다.특집강연에는 김민식 PD(전 MBC PD)의 ‘외로움을 즐거움으로 바꾸는 법’, 구범준 PD(세바시 대표)의 ‘내 스토리를 만드는 네가지 질문’ 강연과 Q&A를 통해 삶을 먼저 살아간 어른이자 ‘인생 선배’로서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듣고, 위로와 격려를 전했다.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의 청년이 전하는 자살예방 실천활동· 최별(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 청년들에게 힘이 될 수 있는 메시지를 공유하기 위해 ‘청년이 듣고 싶은 말’ 캠페인 소개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 최별은 취업, 진로, 관계 등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많은 현실에서 청년들에게 힘이 돼 줄 수 있는 메시지를 공유하기 위해 가족, 친구, 직장상사에게 ‘청년이 듣고 싶은 말’을 온·오프라인으로 설문조사한 내용을 소개하며 박람회 시작을 열었다. 청년들이 가족이나 친구에게 듣고 싶은 말로는 ‘잘하고 있고 널 믿는다’, ‘지금 하고 있는 일을 응원할게’, ‘넌 잘 될거야’, ‘넌 나에게 존재 자체로 소중한 사람이야’ 등 존재에 대한 신뢰와 인정 어린 격려들이 제시됐다.그는 “2022년 통계청에 따르면 20, 30대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라고 발표됐는데, 고립되고 힘든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고 공감적인 이해를 전달하는 것이 도움을 주는 출발이며, 서로 위로와 공감을 나누고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다”는 말을 전했다.· 이광호(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 : 온라인에서의 자살, 자해 유해 게시물 모니터링 활동에 대한 소개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 모니터링팀은 8월부터 SNS 및 온라인 커뮤니티의 자살·자해 유해 게시물 신고를 월 500건씩 진행하면서 우울 및 심리적 어려움을 게시한 글에 선플 댓글을 작성하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광호 서포터즈는 활동 동기에 대해 “커뮤니티에서 자살이 가볍게 소비되고 있는 것이 씁쓸했고,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누군가는 들어주고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모니터링 활동을 통해 응급상황을 조금이라도 막아보고자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 모니터링팀 활동의 의미는 온라인에서 자살예방을 위한 심리적 응급조치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영화나 뉴스를 보면 CPR을 번갈아 가며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심리적 응급처치도 많은 사람들이 힘을 모아 함께 할 때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훈련을 받은 전문가도 환자가 잘못되면 트라우마를 겪는데, 일반인들이 자살 관련 내용을 계속 접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자살예방에 힘쓰는 모든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먼저 스스로 잘 돌보았으면 좋겠다”며 활동 소감을 밝혔다.세대 공감과 위로의 특집강연 : 외로움을 즐거움으로 바꾸는 법, 내 스토리를 만드는 네가지 질문· 김민식(전 MBC PD) - 외로움을 즐거움으로 바꾸는 법김민식(전 MBC PD) PD는 외로움과 힘듦이 영원히 지속될 것 같은 상황에서 자기 비하로부터 벗어나 인생을 행복하게 사는 비법은 일명 ‘3간’이라고 부르는 ‘공간’, ‘시간’, ‘인간’을 벗어나 환기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힘들고 우울할 때 공간을 바꾸거나 가까운 사람들과의 물리적 거리감을 확보하고, 일상적인 시간을 전환해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필요하다고 청년들에게 설명했다. 또한 김민식 PD는 학창시절 친구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해서 자해 시도를 했던 경험을 공유하면서 사람들이 힘들 때 모든 일이 안될 거 같다는 생각, 힘듦이 영원할 것 같다는 생각들이 들 때 스스로를 사랑하고 즐거움을 바꾸기 위해 독서를 했다고 밝혔다. 김민식 PD 본인의 경험한 ‘3간(공간, 시간, 인간)’의 변화를 통해 삶의 가치를 동기부여하고, 외로움을 전환점으로 삼아 성장할 수 있었던 스스로의 경험을 청년들에게 진솔하게 전했다.· 구범준(세바시 대표 PD) - 내 스토리를 만드는 네가지 질문구범준 세바시 대표 PD는 나의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스스로 묻고 삶으로 답하는 것으로 왜 하는가, 새롭게 보는가, 낯선 것과 친한가, 나를 믿는가 등 네 가지 질문에 대해 “내가 누구인지 끊임없이 생각하고, 자신을 진정으로 앎으로써 성장하고, 자신이 성장한 이야기를 전함으로써 타인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세상이 바뀐다고 생각한다”고 청년들에게 밝혔다. 또한 “내 스토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을 하는 이유에 대한 나의 욕구, 새롭게 보는 시각, 자기 자신을 믿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스스로를 사랑하게 만드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강연 후 ‘어떻게 하면 저도 사회에 좋은 영향을 주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라는 한 청년의 질문에 그는 “자신의 삶에 타인의 삶을 포함시키는 삶이라는 표현에서 좋은 성찰을 얻었다. 내가 먼저 잘 살고 다른 사람이 영감을 받거나 그 영향으로 잘살게 된다면 좋은 도움이 될 것이다. 삶의 중심은 나에게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중심에 타인의 삶이 항상 포함돼 동행한다면 그것이 세상을 좋게 바꾸는 원리”라고 답했다.청년 마음건강 박람회에 참여한 청년들은 ‘막연한 희망의 메시지가 아니라 강연자의 경험을 통해 가능성을 북돋우는 이야기에 공감이 됐다’,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에 이유를 묻고, 나를 사랑하고 믿으면서 하루 하루를 잘 살아 낼 수 있어야 다른 이도 도울 수 있음을 기억해 보면서 그런 삶을 차근차근 이뤄가고 싶다’고 소감을 남겼다.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이번 청년 마음건강 박람회의 특집강연과 청년 자살예방 서포터즈 2기 청년 자살예방 활동소개를 통해 청년들이 현재 겪는 어려움과 위기를 통해 경험한 일들이 성장해 나가고, 기성세대와 청년들의 공감을 통해 자기 이해와 자아 존중감이 증대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12월 1일(금) 세바시와 함께하는 희망 북클럽 ‘청년, 가장 외로운 선택’ 박람회 2일차 개최 예정청년 마음건강 박람회 2일차는 12월 1일(금) 19:00~22:00 세바시 데마코홀에서 진행되며, 청년들을 위한 희망 북클럽 ‘청년, 가장 외로운 선택’을 주제로 책 저자와 함께하는 시간이 마련될 예정이다.김현수(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이현정(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 저자와의 만남을 통해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을 공유하고, 청년의 마음건강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 청년들에게 위로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앞으로도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서울시민의 자살을 예방하고 생명존중문화를 형성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운영할 예정으로 서울시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박람회 다시보기는 유튜브 ‘생명사랑 마음이음 TV’ 채널에서 할 수 있다.서울시자살예방센터 소개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서울시민의 자살을 막기 위해 24시간 위기상담 전화를 운영하고 있으며 자살 예방 사업 지원, 교육 지원, 자살 유족 지원, 자살 고위험군 발굴을 위한 서비스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suicide.or.kr
-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호서대학교 외국인 유학생과 함께하는 ‘NYC Global Leadership Camp’ 성료
천안-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원장 직무대행 김병찬)은 호서대학교 국제협력처와 협력해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NYC Global Leadership Camp’를 성료했다고 밝혔다.이번 캠프는 코로나19로 인해 중단된 교류 활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호서대학교에 재학 중인 13개국 외국인 유학생 25명과 국내 멘토 대학생 15명을 수련원으로 초청해 1박 2일간 함께 생활하며, 글로벌 리더십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더불어 교류의 시간을 함께했다.참가자는 이미 전 세계로 널리 퍼져나가는 ‘K-컬쳐’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한국 전통 활동인 국궁, 난타 활동, K-POP 댄스 체험을 할 수 있었으며, 초·중학교에 다니는 다문화 청소년과 함께 ‘공동체 활동 프로그램’을 함께하며 한국 청소년들과 가까이 소통하고 교류하는 시간을 가졌다.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김병찬 원장 직무대행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사람, 자연에 더 가까워지고, 젊은 시절 한국에서 보낸 시간이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는 데 있어 좋은 경험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소개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은 청소년의 조화로운 성장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체험 활동을 통해 구현하고자 국가에서 설립한 청소년종합수련시설로서 1000여 명이 동시에 활동할 수 있는 숙박시설과 활동시설을 갖추고 있다. 청소년 시기에 필요한 기량과 품성을 체험 활동을 통해 습득하고, 더 나아가 청소년들이 꿈을 펼치는데 있어 필요한 역량을 키워주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초·중·고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시범수련 활동과 청소년 대상의 특성화캠프, 가족캠프, 청소년문화축제 등 다양한 청소년 활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청소년지도자들의 역량 개발을 위해 연수센터를 설립하고 각종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이 밖에도 독립군체험캠프, 장애캠프, 다문화청소년캠프 등의 ‘소외청소년 역량강화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nyc.kywa.or.kr
-
입소스 코리아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과 ‘밀레니얼이 일하기 좋은 기업’ 공식 인증 획득
서울-입소스 코리아가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의 공식 인증을 획득하고, 특별 부문 ‘밀레니얼이 일하기 좋은 기업’에도 추가 선정됐다.Great Place to Work®(이하 GPTW)는 신뢰경영지수(Trust Index)를 토대로 일하기 좋은 기업을 평가 및 선정하는 글로벌 컨설팅 기관으로, 전 세계 97개 국가의 다양한 기업 및 기관의 조직 문화를 진단하고 평가한다.기업 관리 정책 평가와 국제 표준 모델인 신뢰경영지수를 기반으로 각 회사 임직원에게 믿음, 존중, 공정성, 자부심, 동료애 등 총 5가지 항목, 60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진행해 종합 환산 점수 60% 이상을 획득한 기업에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부여한다.2023 GPTW 진단의 세부 속성과 관련해 입소스 코리아 응답자 91%는 ‘조직 내에서 다양성을 존중받는다’고 답했고, 91%가 ‘공정한 기회와 맡은 업무에 대한 책임감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응답자 82%는 리더가 비즈니스를 공정하고 윤리적으로 행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기준 점수를 훌쩍 넘어서며 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선정됐다.특별 부문인 밀레니얼이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은 밀레니얼 세대 직원의 TI 결과 평가 80%와 전 직원의 TI 결과 평가 20%를 포함해 높은 점수를 달성한 기업에만 주어진다. 2023 GPTW 진단 결과 입소스 코리아에 재직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80%가 입소스 코리아에서 일하는 것에 만족한다고 답했다.입소스 코리아는 투명한 성과 관리, 각 구성원을 존중하는 기업 문화, 근무지 자율선택제, 재택근무, 연말 오피스 클로징, 전직원 일주일 필수 휴가제, 입소스 웰컴 키트, 입소스 펄스(정기 직원 만족도 조사), 함께 즐기는 타운홀 이벤트 등을 시행하며 구성원 능력에 대한 인정과 존중, 공정한 대우, 함께 즐기는 기업 문화를 만들어 가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입소스 코리아 박황례 대표는 “우리 입소스가 일하기 좋은 회사로 공식 인증을 받았다는 점이 더 할 수 없이 기쁘다”며 “좋은 사람들과 함께 좋은 기업을 만들어 나가는 것은 비즈니스 성과 못지않게 중요한 우리 목표이므로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특별 부문인 밀레니얼이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에 대해서도 “입소스의 밀레니얼들은 조직 내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는 동시에 소득, 가족 돌봄, 커리어 발전 등 다양한 챌린지들과 마주하고 있다. 입소스는 이들의 만족도를 향상과 성장 지원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만족도가 높은 근무 환경을 통해 비즈니스의 성과도 향상될 수 있다고 믿는다”며 “의미 있는 부문에서 추가 인증을 획득하게 돼 기쁘고, 앞으로도 밀레니얼은 물론, 입소스의 모든 세대 구성원이 만족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Ipsos Korea 소개‘게임 체인저(Game Changers)’ 고객사들의 더 빠른 판단과 자신감 있는 움직임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한다. 입소스(Ipsos)는 글로벌 마켓 리서치 기업으로 90개국 국가에서 1만8000명이 넘는 리서치 전문가가 다양한 리서치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신상품 개발, 마케팅 전략 수립과 활동 평가, 광고 효과 및 미디어 평가, 브랜드 가치, 고객 경험 및 만족도, 정치 사회 조사 등 클라이언트가 맞닥뜨린 이슈를 해결할 수 있는 75개의 비즈니스 솔루션으로 전 세계적으로 5000곳의 고객사에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입소스는 1975년 프랑스 파리에서 설립됐고, 1999년 유로넥스트 파리(Euronext Paris)에 상장됐다. 입소스의 한국법인 입소스 코리아는 1997년 출범했으며, 현재 약 270명의 전문가가 국내외 클라이언트들에게 최적의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ipsos.co.kr
-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 토종벼 탈곡 체험하고 장도 보고 가세요
광주-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이하 삶디센터)와 광주전남귀농운동부(이하 귀농운동본부)의 주최로 11월 18일 오후 2시 삶디센터에서 토종벼 탈곡을 체험하고 토종 작물도 살 수 있는 도시농부장터 ‘보자기장’이 열린다.올해 세 번째로 열리는 보자기장은 ‘토종씨앗과 작물’이라는 주제로 진행된다. 이곳에서는 토종씨앗을 잇는 소농이 직접 재배한 토종곡물과 제철 채소를 구입할 수 있고, 우리밀빵, 무농약 케일 주스와 같은 건강한 음료도 맛볼 수 있다. 또한 특별 행사로 △토종벼 탈곡 체험 △김치 워크숍 △월동작물 토종씨앗 6종 무료 나눔 행사가 준비돼 있다.토종벼 탈곡 체험은 도시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정통 탈곡기인 ‘호롱이’로 탈곡한다. 호롱이를 보는 것만으로도 특별한 경험이 될 수 있다. 다소 생소한 토종벼 종류인 ‘보리벼’와 ‘멧돼지찰’은 삶디센터 텃논에서 청소년이 직접 농사지어 수확한 곡물이다. 색다른 경험을 원하는 이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김장 시즌에 맞춰 열리는 김치 워크숍에서는 토종작물 중 구억배추, 청방배추, 조선무의 맛을 함께 느낄 수 있다. 신청은 구글폼(bit.ly/보자기장김치워크숍)으로 가능하며, 12명 선착순 접수한다. 참가비는 5000원이다.삶디센터 정린 팀장은 “현재 채소와 곡물 씨앗은 공장에서 구입해 쓰는 관행농업이 주를 이루는데, 이번 보자기장에서는 다음 생명을 틔울 수 있는 토종씨앗으로 키운 작물을 관찰하고 맛볼 수 있다”고 밝혔다.겨울이 성큼 다가온 계절에 특별한 나들이를 계획하고 있다면 광주광역시 충장로 도심 한복판의 삶디센터 앞마당에서 열리는 보자기장을 제안한다.광주광역시청소년삶디자인센터 소개광주광역시청소년삶디자인센터(별칭: 삶디센터)는 전남대학교와 광주YMCA가 광주광역시의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는 시립 청소년 특화시설이다. 삶디센터는 청소년에게 관심과 욕구에 기반한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이 바라는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힘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한다.웹사이트: http://samdi.or.kr/
-
한국청소년재단, 서울특별시의회 청소년 의회교실 개최
서울-서울특별시의회에서 주최하고 한국청소년재단(이사장 김병후)이 주관하는 ‘제1대 서울특별시의회 청소년 의회교실’이 11일 서울특별시 의원들과의 만남을 진행했다.청소년 의원들은 서울특별시 의원과의 만남을 통해 실제 의회에 소속된 시의원의 역할과 시정활동 등에 대해 듣고, 청소년 의회교실 상임위원회 활동 중 궁금했던 사항들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해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키우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날 특별한 멘토로 서울시의회 문성호 의원(국민의힘·서대문2)과 서울시의회 최재란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이 함께 했다.이날 간담회는 서울특별시의원 소개에 이어 청소년 의회교실 청소년의원 소개 및 활동소개, 질의응답,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의 끝맺음 말을 청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청소년의원들은 ‘시의원이 되는 방법이 무엇인가요?’부터 ‘시의원이 된 후 제일 먼저 하고 싶었던 일은 무엇인가요?’, ‘몇 개의 조례를 만드셨나요?’, ‘어떤 일을 할 때 가장 보람을 느끼나요?’ 등을 질문했다.문성호 의원은 청소년 의회교실에서 각 위원회의 다양한 관심사를 모은 모의 조례안을 들으면서 깜짝 놀랐다며 청소년의원들의 장성한 미래가 기대되고, 지금 이 열정과 마음 절대 잊지 말고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최재란 의원은 시의원이 천만 서울 시민 인구 중 아주 극소수에 불과한 대단한 자리지만, 대단한 자리이기보단 감사한 자리라고 생각한다며, 시의원은 학력이나 능력보다 덕성과 구민·시민을 대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니 청소년의원들이 소통하는 능력과 경청의 자세를 길러 성장하길 바란다고 전했다.청소년의회 의장은 시의원님께서 질문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셔서 즐거웠다며, 서울특별시의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또 청소년의회 환경교통위원회 위원장은 실제 시의원님을 만나 기뻤고, 의안이나 실제로 문제를 해결한 경험에 대해 직접 들을 수 있어 뜻깊었다고 말했다.시의원과의 만남 이후에는 상임위원회 활동 중 토의와 학습을 통해 제안한 진로교육 조례, 폐기물처리 시설 설치 촉진 조례, 초·중학생 교환학생 조례 등과 같은 의견을 구체화해 의결한 모의 조례 혹은 정책제안서를 발표하는 정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한편 제1대 서울특별시의회 청소년 의회교실은 서울특별시 관내 초등학교 5, 6학년생들로 구성돼 있으며, 청소년의원이 스스로 구성한 4개의 정당과 3개의 상임위원회(교육, 환경교통, 문화관광경제)로 구성돼 있다. 청소년 의원회·기관 탐방 등 현장 교육뿐만 아니라 메타버스로 구현된 청소년 의회에서 온라인 활동을 진행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통해 지방의회의 역할을 체험하고, 지역의 주권자로서 성장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한국청소년재단은 ‘세상을 바꾸는 것은 사람이고, 사람을 바꾸는 것은 교육이다’라는 슬로건 아래 청소년 교육 및 장학 사업 등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16개소의 산하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한국청소년재단 소개한국청소년재단은 1990년대 말 사회적양극화와 함께 공교육에서 소외된 6만여 명의 청소년이 사회적으로 방치되고 있을 때 10대 청소년들이 도시 속에서 제대로 교육받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취지 아래 설립됐다. 주요 사업으로 청소년을 위한 성장 지원, 지역과 사회 자원 연계를 통한 평생 교육 모델 창출, 자원 연계 및 사회안전망 구축 등을 진행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dreamyouth.or.kr/
-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2023 청년 소셜벤처기업 육성사업 성료
인천-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인천센터, 센터장 이한섭)는 11월 8일 ‘2023 청년 소셜벤처기업 육성사업’의 추진을 완료하며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2023 인천 스타트업 위크’의 하나로 진행됐으며, 이 사업에 참여한 8개사의 성과 공유 발표와 관련 분야 특강으로 이뤄졌다.이날 행사에서는 참여 기업 가운데 우수 기업 3개사를 선정해 대상에 인천광역시장상, 최우수상과 우수상에는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장상을 수여했다. 수상 기업은 △대상(쉘피아, 대표 최수빈) △최우수상( 나노내, 대표 방우식) △우수상(더바이트, 대표 고영민)이다.시상식 이후 진행된 특강에서는 한국사회투자 이순열 대표가 연사로 나섰으며, 청년 소셜벤처 창업가를 위한 ‘글로벌 투자 시장 동향과 투자유치 기회’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이한섭 센터장은 “사회문제 해결에 소셜벤처의 역할이 중요해 지고 있다”며 “인천센터는 청년의 혁신 아이디어가 사업화로 연결돼 지역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청년 사업가의 역량 강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청년 소셜벤처기업 육성사업은 인천광역시 주최 아래 인천센터와 인천대학교 창업지원단이 주관하는 사업이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한 청년 소셜벤처기업을 발굴·육성해 지역 현안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올해 5월 소셜벤처에 관심 있는 인천 지역 청년 창업 기업 53개팀 가운데 8팀을 선발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최대 3000만원의 사업화 자금 등을 지원다.아래는 이번 사업에 참여한 8개사 명단이다.△쉘피아(대표 최수빈) △더바이트(대표 고영민) △뮤트인(대표 나윤정) △라이프스텝(대표 권혁진) △소요(대표 조용균) △리디파이(대표 박동우) △나노내(대표 방우식) △콜렉터스(대표 강승준)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소개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는 인천의 우수한 인적 인프라, 지리적 강점을 바탕으로 인천광역시와 KT, 한진과 협업해 첨단 ICT 기반 신산업 창출 및 스마트 물류 벤처 육성을 추진하고, 글로벌 시장으로 스타트업이 진출하기 위한 전초기지로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올해 팁스(TIPS) 운영사로 선정돼 우수한 스타트업을 발굴, 육성하고 투자 유치까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ccei.creativekorea.or.kr/incheon...
-
‘작은 활동이 모여 큰 변화가 되기를’ 2023년 부엉이감시단 해단식
서울-한국청소년재단이 올해로 3년째 운영하고 있는 ‘부엉이감시단’이 11월 4일(토) 2023년 활동을 성공리에 마무리하며 해단식을 진행했다.부엉이감시단은 청소년이 안전한 환경 구축을 위해 온라인상에 무분별하게 퍼져있는 디지털성범죄 게시물 및 유해물을 모니터링하는 자발적인 시민모임이다.2023년 부엉이감시단은 발대식을 기준으로 10월 31일까지 온라인상에서 총 5만7159건의 디지털성범죄 게시물 및 유해물을 신고, 감시하는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매월 평균 6351건, 매일 223건을 신고한 셈이다.특히 올해 부엉이감시단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의 공모사업에 선정돼 예년보다 풍성한 활동을 펼쳤다. 대학생 자원봉사단으로 구성된 기획단을 운영해 매월 정기모임을 진행하며 디지털성범죄 가해, 피해를 위한 콘텐츠를 제작·배포하고 청소년 안전망 구축을 위해 노력했다. 기획단원들은 충북, 대전, 충남, 경기에서 매달 서울까지 왕래하며 활동하는 열정을 보여줬다.올 8월에는 부엉이감시단 축제를 맞아 서울 신촌에서 부스를 운영해 700여명의 시민들을 만나 디지털성범죄 근절을 위한 관심과 참여를 촉구했다. 또 ‘디지털성범죄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구입’ 등에 대한 양형 기간 변경을 제안하고 온라인 서명운동을 진행해 215명의 참여를 이끌어냈으며, 이를 토대로 양형 변경 제안서를 양형위원회에 제출했다.해단식에서는 우수 단원에 대한 시상도 진행돼 국회의원상, 한국청소년재단이사장상 등 총 12개 상이 단원들에게 수여됐다.한 해 동안 부엉이감시단으로 활동한 참가자들은 ‘생각보다 인터넷 세상에 너무 많은 성인물 범죄가 있다는 것을 알았고, 유해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이를 신고하면서 미약하지만 조금 더 깨끗한 인터넷 환경이 된 것 같아 좋았다’, ‘작은 신고 활동이 모여서 온라인상의 성 유해매체가 근절되고, 소비되는 문화가 개선됐으면 좋겠다’ 등 온라인상의 많은 유해물에 대한 놀라움과 우려, 그리고 청소년 보호를 위한 의미 있는 활동에 보람과 자부심을 소감으로 전했다.청소년이 안전한 온라인 환경 구축을 위해 쉴 새 없이 달려온 부엉이감시단의 활동은 해단식이 끝난 뒤에도 계속된다. 디지털성범죄자들이 쉬지 않기에 감시단 활동도 멈출 수 없기 때문이다. 모니터링 활동의 특성상 가시적인 성과를 체감하기 어렵고, 유해물을 접하다 보니 심적 소진도 크지만 청소년 보호라는 뚜렷한 목표가 있기에 부엉이감시단은 꾸준히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서대문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개서대문구에서 한국청소년재단이 위탁 운영하고 있는 서대문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서대문에 거주하는 청소년 및 학부모 등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상담 프로그램, 아웃리치, 멘토링 서비스, 온·오프라인 패트롤 활동 등을 통해 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
-
난나페스티벌, 청소년이 만든 시간 여행의 마법
서울-시립강북청소년센터(이하 난나, 관장 김의경)는 청소년축제 ‘난나페스티벌 2023’을 2023년 10월 21일(토)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난나 소속 청소년축제기획단이 직접 설문을 진행하고 응답받은 결과를 바탕으로 기획한 테마축제 ‘난나멀티버스 - 시간여행편’을 비롯해 강북구청소년어울림마당 ‘Festival On’, 평생학습축제 ‘Grow On’을 한 날 진행해 다양한 분야와 형태가 융합된 축제로 자리매김했다.‘난나멀티버스 - 시간여행편’ 축제에는 1600명이 넘는 청소년과 시민들이 참여했다. 이 행사에서 청소년들은 ‘2002 월드컵, 꿈은 다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싹쓰리’, ‘어디로든 문’ 등 다양한 시간대를 형상화한 부스에서 과거와 미래를 통해 상상력을 자극하고 미래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회를 가졌다. 특히 환경과 우주를 테마로 한 체험형 부스를 청소년들에게 기후위기의 중요성과 미래산업의 가능성을 체험하고 경험하는 자리로 채워 의미를 더했다.역동적인 댄스 퍼포먼스, 감동적 밴드 공연, 생동감 넘치는 뮤지컬 무대가 이어진 Festival On은 청소년들이 예술적 끼와 열정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장이 됐다. 또한 드럼, 방송댄스, 발레 등의 예능 수업 무대와 미술과 창작품 전시회가 열린 ‘Grow On’에서는 청소년들이 예술과 문학 분야에서 얼마나 큰 성장을 이뤘는지 보여줬다.공연에 참가한 한 청소년은 ‘무대 위에서 우리의 연습과 노력이 빛을 발하는 것을 보니 무척 뿌듯하다’고 밝혔고, 관람객들은 ‘청소년들의 무대를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얻었다’, ‘올해도, 내년도, 그 다음해에도 청소년 축제가 난나에서 쭉 이어졌으면 좋겠다’는 등의 소감을 전했다.시립강북청소년센터 소개서울시가 설립하고 학교법인 광운학원이 운영하는 시립강북청소년센터는 청소년 사업, 숙박형 체험 사업 등 다양한 청소년 관련 활동을 지역 청소년들과 함께한다.웹사이트: https://nanna.seoul.kr/
-
선배 창업자-장애 당사자, 장애 문제 해결 ‘극초기 스타트업’ 위해 팔 걷어붙였다
서울-SK 사회공헌 전문 재단 행복나눔재단이 10월 13~14일 서울 송파구에서 네트워킹 행사 ‘연결로 성장하는 혁신가들, 프로테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진솔한 논의를 통해 극초기 청년 스타트업이 꾸준히 성장하려면 다양한 인적 자원의 연결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연결로 성장하는 혁신가들, 프로테제는 장애 문제 해결에 뛰어든 청년 스타트업의 사업 모델을 소개하고, 이들이 극초기 단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선배 창업자들과 함께 고민, 해결하는 자리다. 장애 문제를 해결하는 5곳의 청년 스타트업이 멘티로 참여했으며 24명의 장애 문제 관련 기업 대표, 당사자성을 지닌 이해 관계자들이 멘토로 합류했다.행사 이름인 ‘프로테제(Protégé)’는 선배에게 도움을 받아 성장하는 제자를 일컫는 프랑스어로, 경험이나 전문성이 더 뛰어난 사람에게 지원을 받는 ‘사람’을 뜻한다. 지난해 행복나눔재단이 진행한 파일럿 ‘Bridge to the next growth’가 공식 사업으로 출범하게 돼, 취지에 더 잘 맞는 해당 사업명으로 변경했다.이날 행사에는 △장애 학생들을 위한 코딩 교육 장난감을 개발하는 에듀테크 스타트업 ‘네모감성’ △일시적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과 봉사자를 매칭하는 서비스인 ‘헬프콜’을 개발한 ‘동행하는 사람들’ △장애 아동·청소년 대상의 사생대회를 개최, 그 결과물을 의류로 제작 및 판매하는 ‘러플’ △ 중증 장애인 생산품 유통·판매 플랫폼 ‘모두랑’을 운영하는 ‘멕더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온라인 구매 보조 플랫폼 및 대체 텍스트 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공간’이 후배 기업으로 참여했다.멘토로는 한국장애인개발원, 임팩토리얼(모레상점), 도서출판점자, 무빙트립 등의 선배 창업자와 시각장애인 교사, ‘보이는 소리 들리는 마음’의 저자 노선영 작가 등 당사자들이 참여해 스타트업의 고민 해결을 위한 열띤 토론을 나눴다. 아울러 장애 문제 해결을 위해 오랫동안 고민하며 현장에서 노하우를 쌓아 온 스프링샤인의 김종수 대표, 실질적인 임팩트 측정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사회적가치연구원의 박성훈 실장이 장애 문제 해결에 나선 대표들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노하우를 전달했다.선배의 선의와 후배의 열의가 연결된 결과는 ‘협업’이었다. 참여 기업 네모감성은 멘토로 만난 인천혜광학교 권성진 선생님과 시각장애 아동 대상 시범 코딩 교육을 진행한 뒤 2024년부터 교내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며, 현재 다른 참여 기업도 활발하게 협업을 논의하고 있다.행복나눔재단 써니루키팀 김우림 매니저는 “극초기 청년 창업가가 경험하고 있는 현재의 어려움이 다양한 분야와 경험을 가진 선배들과의 만남을 통해 해결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선배 창업자들의 선의로 발현된 ‘협업’의 결과물들이 쌓여, 좁은 시장이라고 알려진 장애 섹터의 파이를 연대로 키워가는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 프로테제 프로그램의 목적”이라고 말했다.한편 SK행복나눔재단은 후속 행사로 이날 연결된 혁신가들 간 만남으로 도출한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할 예정이다.SK행복나눔재단 소개SK행복나눔재단은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 사회공헌 전문 재단이다. 혁신에서 소외된 사회 문제들 속에서 작고 구체적인 문제를 찾아 실험을 거듭하며 최적의 문제 해결 모델을 만들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skhappiness.org/
-
동원그룹, 2023년도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 채용
서울-동원그룹이 2023년도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 채용을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모집 회사는 동원산업, 동원F&B, 동원시스템즈, 동원홈푸드, 동원로엑스, 동원디어푸드 등 6개 기업이며 구매, 마케팅, 연구, 영업, 물류, 생산 등 다양한 직무 분야에서 총 100여 명을 채용한다. 지원 자격은 대학교 기졸업자와 2024년 2월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하며, 채용 과정은 △서류전형 △온라인 필기전형 △1차 면접 △최종 면접 순으로 진행된다. 입사 지원은 9월 25일(월)부터 10월 16일(월)까지 동원그룹 채용페이지(https://careers.dongwon.com)에서 접수할 수 있다. 동원그룹은 △수산 △식품 △포장재 △물류 등 중심 사업을 기반으로 국내를 넘어 전 세계에서 활약하고 있는 글로벌 생활 기업으로, 최근에는 육상 연어 양식, 2차전지 소재, 스마트 항만 물류 등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3대 미래 신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동원그룹은 동원은 본업에 안주하지 않고 항상 과감한 도전과 투자로 혁신을 거듭해온 글로벌 생활 기업이라며, 동원그룹과 함께 성장해나갈 도전적이고 열정적인 인재들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동원그룹은 다음달 6일부터 13일까지 메타버스를 통한 직무상담을 진행하며, 채용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직무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직무토크 영상 등 다양한 채용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취업 준비생들을 위해 동원그룹의 다양한 식음료를 제공하는 푸드트럭 행사와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채용 박람회를 진행하는 등 인재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웹사이트: http://www.dongwon.com
-
금천구시설관리공단,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와 ‘금천구 폐지 줍는 어르신들 위한 제빵 봉사’ 실시
서울-금천구시설관리공단(이사장 임병호)은 14일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와 함께 ‘따뜻한 금천구를 위한 제빵 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이번 봉사활동은 올해 대한적십자사와 맺은 업무협약에 대한 지역사회공헌 사업의 일환으로 금천구 관내의 폐지 줍는 어르신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고 복리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기획됐다. 사전에 대한적십자사에서 경량 리어카와 안전 키트 등을 전달한 어르신들을 포함해 시흥1동 고물상 2곳을 방문하는 폐지 수집 어르신들을 위해 공단 임직원들이 제빵 봉사활동을 통해 만든 빵 60세트와 두유를 적십자 금천지구협의회와 함께 나눠드리며 교통안전 수칙을 안내하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캠페인은 지역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주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캠페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임병호 금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은 “공단 직원들의 재능 기부 봉사를 통해 관내 폐지 줍는 어르신들의 실질적인 복리증진에 작게나마 기여할 수 있어 뜻깊다”며 “앞으로도 단순한 지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금천구 취약계층 및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ESG 경영을 실천하고 지역공동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금천구시설관리공단 소개금천구시설관리공단은 2004년 10월 27일 공공시설물의 효율적 관리·운영을 위해 설립된 지방공기업으로 금천구 공영주차장 및 노상주차장 운영, 거주자우선주차제 운영, 부정주차 차량 견인 및 보관, 금천구민문화체육센터·금빛휘트니스센터·금나래문화체육센터·잔디축구장 등 체육시설 운영, 청소년독서실 운영, 금천구청종합청사 및 금천종합복지타운센터 시설관리, 공공시설물(동주민센터/구립어린이집/구립경로당 등) 시설관리 사업, 현수막게시대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gfmc.kr
-
서울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불안의 시대를 마주하는 청소년을 위한 ‘청,사,진’ 위기사례관리교육 운영
서울-서울시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센터장 오현주)는 10월 13일(금) ‘청소년이 안전하게 성장하기 위해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위기사례관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다.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위기사례관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상담사 등 강서구 관내 고위기 청소년의 사례관리를 하는 실무자들에게 실무적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교육에서는 인지심리학자인 아주대학교 김경일 교수를 초청해 불안의 시대를 마주하는 청소년들을 안전하게 성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오현주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장은 “최근 뉴스에서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결코 안전하지 못하다고 느끼게 되는 사건과 사고들을 자주 접하면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며 “청소년을 돌보고 성장시켜야 하는 부모를 비롯한 모든 어른이 청소년이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의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이번에 진행되는 위기사례관리교육은 청소년 문제에 관심 있는 누구나 신청이 가능하며, 무료로 진행된다. 신청 페이지(https://forms.gle/MAuKtoNAPAYeam7q9)에 접속해 신청서를 작성해 제출하면 참여가 가능하다.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9조에 따라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만 9세~24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개인 상담 및 심리치료, 심리검사, 다양한 주제의 예방 교육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화 문의와 홈페이지 접수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개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9조에 의거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강서구로부터 강서대학교가 위탁받아 운영하는 구립청소년전문상담기관이다.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강서구 내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들에게 청소년안전망을 통해 지역 내 청소년 유관기관 및 다양한 지역 자원과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는 학교 밖 청소년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설립된 학교 밖 청소년 지원기관으로, 청소년들이 당당하게 미래를 설계해 건강한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상담, 학습, 진로, 건강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gs1318.or.kr/
-
서울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 마약류 및 약물중독’ 선제적 대응을 위한 위기사례관리교육 운영
서울-서울시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센터장 오현주)는 9월 12일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유상희 교수의 ‘청소년 마약문제 및 약물중독의 이해’와 13일 한동대학교 신성만 교수의 ‘청소년 중독상담 및 사례관리의 이해’를 주제로 양일 간 청소년의 약물중독과 사례관리의 이해를 위한 위기사례관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밝혔다.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위기사례관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상담사 등 강서구 관내 고위기 청소년의 사례관리를 하는 실무자들에게 실무적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교육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확산되는 마약류 및 약물중독의 위험성을 알리고,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전문가 집단 교육을 실시했다.오현주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장은 “최근 보고되는 통계에서 청소년의 마약류 및 약물중독 사례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 실무 현장에서도 청소년들이 중독성이 강한 약물을 접하고 오남용되고 있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며 “이러한 위기 상황에 청소년 분야의 전문가 및 실무자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앞장서겠다”고 말했다.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9조에 따라 서울 강서구에 거주하는 만 9세~24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개인 상담 및 심리치료, 심리검사, 다양한 주제의 예방 교육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화 문의와 홈페이지 접수를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개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9조에 의거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해 강서구로부터 강서대학교가 위탁받아 운영하는 구립청소년전문상담기관이다.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강서구 내 도움이 필요한 청소년들에게 청소년안전망을 통해 지역 내 청소년 유관기관 및 다양한 지역 자원과의 유기적 연계를 바탕으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는 학교 밖 청소년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설립된 학교 밖 청소년 지원기관으로, 청소년들이 당당하게 미래를 설계해 건강한 지역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상담, 학습, 진로, 건강지원 등을 제공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gs1318.or.kr/
-
청년들이 부산을 바꾼다… ‘ICT BuVa 부산바꾸기 Challenge’ 성황리 마무리
부산-부산벤처기업협회는 ICT 이노베이션 스퀘어 확산사업의 하나로 ‘2023 ICT BuVa(부산바꾸기) Challenge 경진대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하고, 부산벤처기업협회가 참여 기관으로 운영하는 이번 사업은 사물 인터넷(IoT)을 활용한 공공 및 민간 데이터를 다방면으로 분석 체감 높은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신기술 발굴을 목표로 ‘부산광역시 현안 문제 해결’이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경진대회에는 총 10개 팀 30명이 신청해 7월 3일부터 28일까지 약 20일간 열띤 경쟁을 펼쳤다.7월 27일에는 팀별 프로젝트 발표, 다음 날인 28일에는 결과 발표 및 시상식이 부산 농심호텔에서 진행됐다. 팀별로 부산시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선보였다. 몇몇 팀은 시제품을 만들어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IoT 기술을 접목 및 시연하면서 심사위원들의 눈길을 끌기도 했다.기존 10개 팀에서 1개 팀이 중도 탈락해 총 9개 팀이 발표를 진행했고, 공정한 심사를 거쳐 28일 총 5개 팀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1등 팀에는 대상과 상금 1000만원이 수여됐고, 2등 팀에는 최우수상과 상금 500만원, 3등 팀엔 우수상과 상금 100만원, 4·5등 팀에는 장려상과 상금 50만원이 각각 수여됐다.이날 시상식에 참여한 부산벤처기업협회 심술진 협회장은 청년들의 톡톡튀는 아이디어와 참신함에 큰 만족감을 표하며 이번 경진대회 의의와 성과에 대해 발표했고 “앞으로도 이런 대회를 매년 개최해 부산에 더 많은 인재가 부담 없이 도전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주최 측도 이번 대회를 통해 부산시 현안 문제를 우리 지역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직접 고민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살기 좋은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한 위대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부산벤처기업협회 소개2005년 12월 설립된 부산벤처기업협회는 부산광역시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중소벤처인의 이익 및 발전을 위해 경영 지원, 마케팅 지원, 자금 지원, 인적자원 개발 지원, 기술 교류 지원 등 다양한 유관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 내 기업체들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지역 대표 협단체다.
-
‘청소년을 꿈꾸고, 디지털을 더하다’ 서대문구립 가재울청소년센터 개관
서울-9월 13일(수) 청소년 활동의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는 ‘가재울청소년센터’가 개관한다.‘청소년을 꿈꾸고, 디지털을 더하다’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개관식은 청소년들이 즐길 수 있는 자율이용 프로그램과 4차산업 체험 프로그램, 개관식 본식으로 나뉘어 진행될 예정이다.△자율이용 프로그램은 플레이스테이션, AR스포츠 체험, 닌텐도 링피트, 팝드론, 인생네컷으로 구성돼 있으며, 15시부터 18시까지 30분 단위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4차산업 체험프로그램은 3D펜을 이용한 3D 아트 메이킹, 로봇 코딩을 통한 그림그리기, 아두이노를 활용한 스마트팜 만들기 활동이 제공된다. 17시부터 18시까지 진행되며,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개관식 본식은 휴머노이드 로봇이 진행하는 커팅식을 시작으로 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의 인사말과 가재울청소년센터 건립에 대한 경과보고, 김용대 가재울청소년센터 관장의 감사 인사, LED 댄스팀의 축하공연으로 진행될 예정이다.가재울청소년센터는 국내에서 최초로 청소년 활동의 디지털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자율이용시스템(키오스크, 홈페이지)을 통해 청소년이 가재울청소년센터에서 활동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스템을 갖췄다.또한 가재울청소년센터는 2022년 ‘청소년활동데이터 디지털화 구축을 위한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올해는 연세대학교 청소년 및 청년발달연구실과 함께 청소년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해 청소년 성장에 관한 데이터로 어떻게 변환시킬 수 있는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이성헌 서대문구청장은 “가재울청소년센터는 미래산업사회 기반의 청소년 육성을 위한 공간으로, 청소년의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김용대 가재울청소년센터 관장은 “가재울청소년센터는 4차산업 체험 프로그램뿐 아니라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성장을 데이터로 담아내려고 하고 있다. 데이터를 이용해 청소년과 지역사회를 위해 센터를 잘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가재울청소년센터는 ‘제19회 청소년 박람회’에 참여해 디지털 대전환기 청소년을 위한 활동과 데이터를 통한 디지털 전환에 대한 부스를 운영했다. 그 결과, 220개 부스 중 높은 평가를 받아 우수부스로 선정돼 여성가족부장관상을 수상했다.가재울청소년센터와 관련해 더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가재울청소년센터 소개가재울청소년센터는 서대문구 남가좌동에 위치한 청소년 시설이다. 가재울청소년센터에서는 4차 산업혁명 콘텐츠와 미래기술 체험(4차산업, 융복합 프로그램 등), 청소년 데이터 디지털 전환을 통해 청소년 활동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청소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미래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웹사이트: https://www.gjumyc.or.kr/
-
강동대 아트코리아랩 신기술 융합 음악 예술특화 창업팀, 선배 창업자와 함께하는 기업 탐방 프로그램 진행
서울-예술경영지원센터의 ‘아트코리아랩 : 대학 예술창업 활성화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강동대와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가 예비 창업 5개 팀 학생들과 함께 ‘선배 창업자의 기업 탐방 프로그램’으로 사운드 360 스튜디오를 방문했다.아트코리아랩은 대학 예술창업 활성화 지원사업은 대학을 중심으로 융합 예술 분야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 및 지원해 대학 예술창업의 기반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강동대는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신기술 융합 음악 예술특화 창업 인재 ‘ARTisT’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사운드 360은 오디오가이가 운영하는 국내 최초의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입체 음향 스튜디오로, 탁월한 현장감을 전하는 3D 입체 음향과 사운드 프로페셔널이 디자인한 소리를 바탕으로 신기술 융합 음악 예술 분야 창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다.또 오디오가이 최정훈 대표의 특강 시간에는 선배 창업가로서 현장의 다양한 기술 정보와 트렌드를 제공했다.이유진 학생(실용음악과 3학년)은 현장 방문 이후 “실제 창업 시장에서 선배 창업자의 창업 스토리를 듣고, 최첨단 시설과 기술을 접할 수 있었다”며 “더 많은 기업 방문을 통해 창업 방향성 스펙트럼을 넓히고 싶다”고 말했다.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실용음악과 유현식 교수는 “앞으로 학생들이 창업을 희망하는 문화예술 분야 신기술, 플랫폼 기반의 다양한 선배 창업가의 공간을 2~3회 더 방문해 학생들에게 현장을 체감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 소개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는 예술인에게 필요한 정보, 실무 교육과 전문 자료를 제공해 지속 가능한 창작 활동이 가능하도록 상상·지속·변화의 가치를 기본으로 성장하고 있는 서울시 예비사회적기업이다. 문화예술 분야 정보 제공, 네트워크를 통한 협업, 문화공간 운영, 예술인 홍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예술 활동을 지원한다.웹사이트: http://www.with-art.co.kr
-
발달장애아동의 ‘도전 행동’, 가족돌봄청년의 ‘고립’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답은
서울-청년들이 ‘주체자’로서 직접 기획, 검증한 사회 문제 해결 솔루션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SK 사회공헌 전문 재단 행복나눔재단은 8월 26일 ‘Sunny Scholar’ 성과 공유회를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Sunny Scholar는 ‘청년 인재들의 사회변화 실험터 Sunny’가 사회문제의 진짜 원인을 연구하고 실제적 문제 해결을 위해 론칭한 프로그램이다.Sunny Scholar는 대학생이 사회 변화 활동에 뛰어드는 ‘경험’의 단계를 넘어, 직접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을 만드는 ‘주체자’의 단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 문제 분석 및 정의 과정을 중심으로 고도화한 육성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올 2월 오픈해 총 6팀이 7개월간 세 단계(△사회 문제 정의 △솔루션 기획 △실행)에 걸쳐 프로그램을 수행했으며, 현재 솔루션 검증 작업을 마쳤다.이날 성과 공유회에 참가한 Sunny Scholar 팀들은 직접 기획, 검증을 맡은 △발달장애아동의 ‘도전 행동’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식을 제공하는 서비스 △가족돌봄청년에게 최적의 외부 지원 연결을 위한 복지 전문가 매칭 서비스 △이주민의 건강권 증진을 위한 의료 지원 정보취합 서비스 △장기요양등급 5등급 어르신의 인지 활동 참여도를 강화하는 맞춤형 인지 활동 프로그램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시니어를 위한 근무지 후기 제공 서비스 △구매 접근성 향상을 위해 우수한 품질의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한 하지장애인의 운동 보조기구 등을 참석자들에게 선보였다.아울러 7개월 간의 여정을 엿볼 수 있는 전시도 준비해 초청받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Sunny의 생각과 노력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왔다.특히 발달장애아동의 도전 행동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기획한 ‘F5’팀은 해당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발달장애아동 부모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이 구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방도가 없는 현상황을 ‘개입 지점’으로 설정하고 문제 해결에 나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도전 행동은 ‘행동하는 사람이나 타인의 신체적 안전을 심각하게 해할 가능성이 있는 행동’을 뜻한다. 국내에서는 도전 행동 대응 전문가 및 치료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F5팀은 전문가 검증을 끝낸 ‘하루 1분 작성 부모 관찰일지’를 개발, 일지에 쌓인 도전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연계된 치료사가 카카오톡 채널 서비스로 상담을 진행하는 서비스를 계획했다. 해당 서비스는 기존에 도전 행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필요했던 비용과 시간을 혁신적으로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이 밖에도 △최근 이슈로 떠오른 가족돌봄청년들이 고립 상태에서 벗어나 외부 지원을 원활하게 받을 수 있도록 가족돌봄청년을 발굴하고, 복지 전문가를 매칭해주는 서비스 △딱 한 시간 동안 인지 활동을 활성화해주는 학습지를 제공해 인지 장애를 지연시키는 데 집중한 프로그램 등 타깃의 크기는 작지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의 구체적인 개입 지점을 찾아 솔루션을 고안한 6팀의 청년들은 꾸준히 후속 활동을 진행하며 실질적인 임팩트 창출에 도전할 계획이다.Sunny Scholar를 기획, 운영하는 행복나눔재단 조신화 매니저는 “대학생이라서가 아니라 그 누구에게도 사회 문제는 거대하고 복잡하며, 해결은 늘 영원한 숙제 같은 것”이라며 “Sunny Scholar는 거대한 문제를 쪼개고 쪼개, 지금 당장 개입이 가능하고 해결을 시도해볼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것에 집중하며, 다수가 아닌 한 사람의 인생이라도 변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만드는데 무게를 싣는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이어 “Sunny Scholar 3기 모집을 올해 하반기에 진행할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SK행복나눔재단 소개SK행복나눔재단은 창의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개발하는 사회공헌 전문 재단이다. 혁신에서 소외된 사회 문제들 속에서 작고 구체적인 문제를 찾아 실험을 거듭하며, 최적의 문제 해결 모델을 만들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skhappiness.org/
-
시립성북청소년센터, 룩스진로진학컨설팅과 업무협약 체결
서울-광운대학교가 위탁·운영하는 시립성북청소년센터(관장 조남억)와 룩스진로진학컨설팅(대표 정신애)이 7월 27일 상호 발전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은 사업 연계 및 정보 제공 상호 협력, 협력 네트워크 운영 및 개발, 성북구 청소년의 진로 확장 및 적성 발전 기여 등이다.룩스진로진학컨설팅은 개인에 맞는 진로진학 및 학습 방향을 제시해주는 기관으로, 2022년부터 시립성북청소년센터 방과후아카데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로진학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학교 생활기록부, 성적표, 진로 적성 검사지 등 객관적 정보를 바탕으로 개인 특성에 맞춰 포트폴리오와 진로 로드맵을 제시했으며 학부모가 자녀와 함께 미래 계획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했다.시립성북청소년센터 방과후아카데미는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초등 4학년부터 중등 3학년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학습 지원, 전문 체험 활동, 급식, 상담, 귀가와 같은 생활 지원 등 종합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가족부 국가정책지원사업이다.조남억 시립성북청소년센터 관장은 “전문 컨설팅을 통해 청소년들에게 체계적인 진로진학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어 기쁘다”며 “청소년들의 진로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정신애 대표를 대신해 참석한 권도형 룩스진로진학컨설팅 원장도 “지난해에 이어 성북청소년센터 방과후아카데미에 컨설팅을 지원하면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목표를 향해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을 보며 보람을 느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컨설팅과 입시 설명회를 지원했으면 한다”는 뜻을 밝혔다.웹사이트: https://www.sbyouth.or.kr
-
성균관대-경기대-인하대, 기업 현장에서 즉시 전력화 가능한 대학 SW 역량 교육 실시
수원-경인권 3개 대학(경기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인하대학교)이 기업 현장에서 즉시 전력화 가능한 SW 인재 양성을 목표로 대학생들과 16개 IT기업이 진행한 협업 결과를 발표하는 ‘K-Softvation Showcase’ 행사를 25일 판교스타트업캠퍼스 1층 콘퍼런스홀에서 개최한다.앞서 3개 대학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순한 이론 교육뿐 아니라 기업에서 현재 연구 중이거나 개발하고 있는 SW 등을 직접 만들어 보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K-SoftVation Showcase’는 그 결과물을 평가받는 자리다. 이번 ‘K-Softvation Showcase’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SW전문인재양성사업’의 정부 인력양성 과제다.기업들의 수요 맞춤형 SW 인력을 양성하는 이 과제의 정식명칭은 ‘K-Software Empowerment Bootcamp’(총괄책임자: 성균관대 김광수 교수)로, 주관기관은 성균관대 컨소시엄(성균관대 사업단장: 김광수 교수, 경기대 사업단장: 김남기 AI컴퓨터공학부 교수, 인하대 사업단장: 권장우 컴퓨터공학 교수), 주최는 교육전문기관 한컴아카데미다. 또한 SK, MDS테크, 인피니트헬스케어, Levware, Uplexsoft, 포도소프트, GP 모바일, 디자인드AI, 벡터코리아, 어노테이션AI, 아이티엠티, 오즈레이, 이안에스아이에스티, 제이오토메이션, 큰비전, 행복한다람쥐단 등 16개 IT기업들이 공동으로 참여하고 있다.‘K-Software Empowerment Bootcamp’는 195명의 경인권 대학생들이 소프트웨어 관련 기초교육(280시간)과 심화교육(360시간)을 마치고 본인이 원하는 기업들과 기업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2개월간 실시해 참여기업들이 가진 기술력을 통해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진행됐다. 이번 ‘K-Softvation Showcase’ 행사는 대학생들과 기업들간의 소통과 협업을 촉진하며, 기업의 기술을 공유하고 대학생들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접목하고 발전시키는 기회가 됐다.‘K-Softvation Showcase’ 행사에서는 총 30개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가 발표됐다. 이 프로젝트들은 대학생들과 기업들이 함께 기획하고 개발한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각각 대학생들과 기업들의 열정과 협력으로 만들어진 참신하고 유용한 솔루션들이다.성균관대 컨소시엄은 이날 발표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들은 대학생들과 기업들 간의 창의적인 협업을 이루게 한 좋은 계기가 됐으며, 이러한 협업은 대학생들이 참신한 아이디어 발상능력을 발휘하고, 기업들은 기술개발 노하우를 제공해 서로의 역량을 결합함으로써 혁신적인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는 기회가 됐다고 평가했다.총괄책임자인 성균관대 김광수 교수는 “SW 교육은 이론 교육만이 아닌 실제로 제품을 만들어보는 경험 교육으로 발전해야 창의적인 교육 환경이 제공되는 것인데 이번 ‘K-Softvation Showcase’ 행사는 대학생들과 기업들간의 협업을 촉진하고,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를 공유함으로써 기업이 원하는 인재 양성에 기여하는 소중한 행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경기대학교 소개경기대학교(京畿大學校, Kyonggi University)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위치한 수원캠퍼스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2가에 위치한 서울캠퍼스로 이뤄진 대한민국의 사립대학이다. 6개 단과대학에 64개 학과가 설치돼 있고 대학원에 9개 대학원이 설치돼 있다. 13개의 부속기관, 부설교육기관인 평생교육원과 국제교육원, 19개의 부설연구소는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학문과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kyonggi.ac.kr/
-
코이카 이노포트, 글로벌 사회혁신 해커톤 ‘INNO-CAMP’ 참가자 모집
서울-개발도상국 현지 전문가와 국내 청년들이 함께 글로벌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청년 사회혁신가 문제해결 역량 강화 프로그램 ‘INNO-CAMP’(이하 이노캠프)가 8월 28일(월)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이노캠프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주최하고, 사단법인 더 브릿지(The Bridge International), 엠와이소셜컴퍼니(MYSC), 사단법인 더프라미스(International NGO ThePromise)가 주관하며, 청년들이 필리핀과 라오스 현지 전문가(INNO-Partner)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문제해결 역량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개발 협력 모델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노캠프는 글로컬(Glocal)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를 위한 3단계 역량강화 지원 프로그램 중 첫 단계로 △Day 1(9월 8일) 개발 협력 현지 문제 정의 △Day 2(9월 9일) 창의적 솔루션 디자인 △Day 3(9월 10일) 개발도상국 현지 타당성 검증 및 최종 발표회 순서로 진행된다.퍼실리테이터 10명과 일반 청년 참가자 30명을 모집하며, 수상팀은 ‘INNO-TRIP’ 참여 기회와 수상팀별 MVP 개발 지원금 100만원을 지원한다.이노캠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코이카 이노포트(KOICA INNOPORT)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퍼실리테이터 참가 희망자는 8월 25일(금)까지, 일반 청년 참가자는 8월 28일(월)까지 신청할 수 있다.한편 올 9~11월에는 이노캠프의 후속 단계로, 5주간 현지 전문가와 함께 솔루션을 검증하고 MVP를 만드는 프로젝트인 ‘이노트립(INNO-TRIP)’과 개도국 현지 조사 과정을 통한 사업 모델 고도화를 목표로 하는 ‘이노트래블(INNO-TRAVEL)’이 개최된다. 자세한 내용과 모집 일정은 코이카 이노포트 홈페이지에 공지될 예정이다.더프라미스 소개유엔 경제사회이사회(ECOSOC) NGO 특별 협의 지위를 획득한 더프라미스는 △교육 △식수위생 △소득 증대 △재난 피해 지원 사업을 진행하는 국제구호단체다. 주요 재난 현장들을 중심으로 인도적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 이재민 지원 사업을 펼치고 있다.웹사이트: http://thepromise.or.kr
-
동북4구 청소년센터 소속 청소년동아리 정기 연합 교류전 ‘제11회 G.N.C.S.Festival’ 개최
서울-광운대학교(총장 김종헌)가 위탁·운영하는 시립성북청소년센터(관장 조남억)는 8월 26일(토)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소극장에서 2023년 청소년센터 소속 동아리 연합 정기 교류전 ‘제11회 G.N.C.S.Festival’(이하 G.N.C.S.Festival)를 개최한다고 밝혔다.G.N.C.S.Festival은 동북 4구 4개 청소년센터인 강북청소년센터·노원청소년센터·창동청소년센터·성북청소년센터에서 공동으로 주최하는 행사로 올해는 성북청소년센터가 주관한다.올해 11번째를 맞는 G.N.C.S. Festival은 강북청소년센터, 노원청소년센터, 창동청소년센터, 성북청소년센터에서 활동하는 청소년 동아리들이 모여 각각 밴드 1팀과 댄스 2팀, 찬조 1팀을 구성해 밴드·댄스·힙합·뮤지컬 등 다채로운 장르로 총 16개 공연이 진행될 예정이다.또 G.N.C.S. Festival이 라운드 경연으로 진행되는 만큼 청소년들이 공연에 대한 넓은 시각과 견해를 배울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분야별 전문가를 초대해 전문 심사위원단을 구성할 예정이다.이번 G.N.C.S.Festival의 1라운드 밴드팀 경연에서는 노원청소년센터 ‘간단한 음악’, 강북청소년센터 ‘LORD’, 성북청소년센터 ‘Sunset14’, 창동청소년센터 ‘허즈밴드’가 공연을 선보이고, 2라운드 댄스팀 경연에서는 창동청소년센터 ‘D4C’와 성북청소년센터 ‘Mash Up’, 강북청소년센터 ‘門’, 노원청소년센터 ‘매력이’, 마지막 3라운드 댄스팀 경연에서는 강북청소년센터 ‘HIPHOP’, 노원청소년센터 ‘Seraphic’, 성북청소년센터 ‘Wait a minute’, 창동청소년센터 ‘정글러’가 차례로 공연을 진행한다.또 이번 행사를 위해 찬조 공연을 준비한 성북청소년센터 ‘씨스팟’, 강북청소년센터 ‘Limitless’, 창동청소년센터 ‘ABLE’, 노원청소년센터 ‘해리’도 경연이 진행되는 중간에 힙합, 댄스, 뮤지컬 등의 다양한 공연을 선보이며 분위기를 전환시킬 예정이다.G.N.C.S. Festival은 매년 8월 말에서 9월 초 청소년팀들로 구성해 지역 내 다양한 공연 장소에서 진행하며 300~400명의 현장 관람객을 초대하고 있다. 또 공연을 직접 관람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G.N.C.S.Festival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영상을 업로드하고 있다.조남억 시립성북청소년센터 관장은 “이번 G.N.C.S Festival 공연을 통해 청소년들의 꿈과 열정을 발산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바란다”며 “청소년들에게 예술 문화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창작 및 문화예술 활동 기회를 꾸준히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웹사이트: https://www.sbyouth.or.kr
-
시립중랑청소년센터, 광복 78주년 ‘청소년 나라사랑 축제’ 펼쳐
서울-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설립하고 한국청소년연맹(총재 임호영)이 위탁 운영하는 시립중랑청소년센터(관장 박충서)는 8월 15일 광복 78주년을 맞아 ‘청소년 나라사랑 축제’를 개최한다.청소년 나라사랑 축제는 국경일을 맞이해 청소년들이 직접 기획하고 주도적으로 운영해 청소년과 가족들이 광복절과 나라사랑의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도록 △나라사랑 청소년 공모전 △태극 쿠키 만들기 △태극목공 체험 △3D펜 태극기 만들기 △영어 독립선언문 쓰기 △나라사랑 포토존 △태극 에코 백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부스와 특별 체험(목공, 제과제빵)으로 구성된다.또 센터의 청소년문화예술단 청소년들이 펼치는 독립의 영웅 김상옥 의사 순국 100주년 기념 특별 뮤지컬 ‘종로의 하와이안 피스톨’ 공연도 함께 펼쳐져 체험거리와 함께 풍성한 볼거리도 제공될 계획이다.박충서 시립중랑청소년센터 관장은 “나라사랑과 역사를 어렵게 생각하는 청소년들에게 눈높이에 맞춘 체험형 콘텐츠 제공을 통해 나라사랑 정신과 올바른 역사의식이 함양되는 좋은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청소년 나라사랑 축제는 사전 신청과 현장 접수로 운영되며, 참가를 희망하는 청소년은 시립중랑청소년센터 홈페이지와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시립중랑청소년센터의 자세한 프로그램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시립중랑청소년센터 소개시립중랑청소년센터는 서울시가 설립, 사단법인 한국청소년연맹이 위탁 운영하는 청소년 시설로 목공 특성화 사업 뚝딱이 창의공작소를 비롯한 10여개의 청소년 자치 동아리 활동과 청소년 축제, 마을 속 코디네이터 등 마을 연계 사업, 학교 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고드림 대안학교, 청소년의 참여·권리 증진 사업 등 다양한 청소년 사업 추진에 앞장서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jjang.or.kr
-
충남도, 동북아 청소년과 미래 환경에 대해 논하다
충남-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원장 조경훈)은 8월 10일 온라인으로 개최한 ‘동북아시아지역자치단체연합(NEAR) 청소년 환경활동리더 육성사업’에 참가했다고 밝혔다.동북아자치단체연합(NEAR) 청소년 환경활동리더 육성사업은 미래 세대 청소년에게 동북아 지역 환경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국제 협력을 촉진하고자 추진하는 행사다. 올해 중국 산시성에서 온라인으로 개최했으며, 동북아 5개국[1] 70명의 청소년이 참가했다.행사는 지역 소개, 환경 활동 발표, 교류 활동 등으로 이뤄졌으며, 충청남도 대표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환경의제(수질 측정 실험을 통한 물관리 필요성 도출)를 발표하고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6번, 14번[2] 달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조경훈 원장은 “2045 탄소 중립을 목표로 하는 충청남도에서 청소년이 주도적 환경 활동을 진행하고, 이를 국제사회에 발표하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우리 청소년들이 미래 세대의 주역으로서 국제사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1] 사업 참가 국가: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2] SDGs 6번 목표: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14번 목표: 해양생태계 보전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소개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청소년활동진흥센터는 충청남도 조례에 따라 청소년 활동, 자원봉사, 국제교류 및 복지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통합 서비스 기관이다.웹사이트: http://cnyouth.or.kr/
-
건양대 학생 창업 브랜드 논과산, 신제품 딸기양갱 출시
논산-건양대학교에 재학 중인 안지효 학생이 학생 창업을 통해 논산의 특산물을 이용한 식품 브랜드 ‘논과산’을 론칭하고 첫 제품으로 ‘논산 리얼 딸기양갱’을 출시했다.신제품 ‘논산 리얼 딸기양갱’은 양갱 하나에 소소과 기준 딸기 두 알이 함유돼 있으며, 일반적인 양갱과 달리 팥을 빼고 한천을 넣어 만들었다. 딸기의 새콤달콤한 맛과 톡톡 씹히는 딸기 씨의 식감이 느껴지는 제품으로, 기존의 팥양갱과는 다른 매력을 선보인다.안지효 논과산 대표는 “맛있는 논산 딸기를 사계절 즐길 수 있도록 딸기양갱을 만들고자 했다”며 “창업에 관심이 있었던 중에 학생 창업이라는 좋은 기회를 만나 사업에 참여하게 됐다. 초기 아이디어 구상부터 판매까지 직접 해보면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창업에 대한 전문성을 키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한편 논과산은 논산의 특산물을 이용한 맛있는 식품을 출시해 더욱 효과적으로 지역 홍보를 하고자 설립된 브랜드다.논과산 소개‘논과산’은 건양대학교 학생 창업을 통해 식품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된 브랜드다. 논산의 다양한 특산물을 이용해 일종의 ‘기념품’을 만들어 지역 홍보를 하고자 한다. 건양대학교 논산캠퍼스 학생창업관에 사무실이 위치해 있다.
-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충청권 지역아동센터지원단과 업무협약 체결
천안-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원장직무대행 김병찬)은 지역아동센터대전지원단(단장 장진경), 지역아동센터충남지원단(단장 이명희), 지역아동센터충북지원단(단장 이창희)과 8월 1일 ‘경계선지능청소년 및 취약계층청소년 지원활동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으로 4개 기관은 △경계선지능청소년 대상의 사회성 향상 활동 서비스 지원 및 연계 협력 △각 기관의 전문 인력 양성 협력체계 구축 및 상호 지원 △기타 각 기관이 추진하고 있는 제반 업무에 대한 협조 등에서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또한 각 기관은 경계선지능청소년과 다양한 취약계층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 활동 서비스 및 오프라인 캠프 운영, 전문인력 역량 향상을 위한 워크숍 개최 등 다각적인 협업사업을 전개할 계획이다.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김병찬 원장 직무대행은 “이번 협약으로 경계선지능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 성장을 위해 다양한 활동 서비스 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전문인력의 역량 향상을 위한 활동사업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nyc.kywa.or.kr
-
‘충청남도 청소년 리더 양성 프로젝트 주.인.공.’ 리더교육 운영
천안-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원장 조경훈)은 6월(천안), 7월(당진, 서산, 부여) 도내 16세 이상 17세 청소년 120여 명 대상으로 ‘2023년 충청남도 청소년 리더 양성 프로젝트 주.인.공. 리더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충청남도 청소년 리더 양성 프로젝트 주.인.공 리더교육은 청소년 리더십 6대 역량(의사소통, 자기이해, 공동체 의식, 주도성, 목표설정, 문제해결)의 강화를 통해 리더십 역량을 함양했다. 또한 강의식 교육이 아닌 게임 학습, 역할 놀이, 조별 활동, 토론 등으로 청소년들의 흥미와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냈다.더불어 정서적 지지와 동기 강화를 위해 후기청소년 멘토 서포터즈단을 조별로 배치해 멘티 청소년들의 참여를 독려하며 리더교육을 진행했다.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에 따르면 리더교육에 참가한 청소년은 게임이나 조별활동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니 시간가는줄 몰랐고, 멘토들이 있어서 더 좋았다며 다음에 이런 프로그램이 있으면 또 참여하고 싶다는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한편 교육 이후에는 리더교육 시 작성한 플랜보드를 바탕으로 목표를 서로 공유하고 상호 격려하는 ‘챌린지 활동’과 활동 우수자와 함께하는 ‘리더 캠프’를 통해 일년간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충청남도 청소년 리더 양성 프로젝트’는 타인과의 경쟁의 삶보다는 자기만의 개성을 살린 주도적 삶으로의 태도 전환을 위한 충남형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으로 충청남도 청소년의 체계적 리더 양성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16년부터 운영하고 있다.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소개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청소년활동진흥센터는 충청남도 조례에 의거 청소년활동, 자원봉사, 국제교류 및 복지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통합서비스 기관이다.웹사이트: http://cnyouth.or.kr/
-
군포시청소년재단 군포시진로교육협력센터, 청소년성장지원네트워크 교사협의회 개최
군포-재단법인 군포시청소년재단 군포시진로교육협력센터는 7월 3일, 4일, 6일 군포 관내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진로 담당 교사협의회를 개최했다.이번 진로 담당 교사협의회는 학교 현장의 흐름과 수요를 파악하고, 군포시진로교육협력센터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 등 상호 이해 수준을 높여 청소년 교육 지원의 효과적인 협업 방식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날 회의는 학교의 일정 등을 고려해 화상회의로 이뤄졌다.회의에서는 군포시진로교육협력센터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신임 담당자 선임에 대한 소식을 전하는 것을 시작으로 2023년 프로그램 운영 현황, 2024년 사업에 관한 논의 등을 진행했다. 또한 10월 19일부터 2일간 개최 예정인 군포시 청소년 진로박람회의 협조 요청 사항 및 기획 방향 등 현안도 중점 논의했다.군포시청소년재단은 앞으로도 관내 교사들과 군포시진로교육협력센터와의 유기적 연대 형성을 통해 군포시 청소년의 성장지원에 더욱 힘쓸 예정이다.군포시청소년재단 소개군포시청소년재단은 군포시 청소년 정책과 청소년 복지 프로그램 개발·집행, 위탁 청소년 시설 관리·운영 등 전반적인 청소년 관련 사업을 담당하고 있다.웹사이트: https://www.gpyf.or.kr
-
청소년 자기주도 프로젝트 봉사활동 ‘청·세·담 - 청소년이 세월을 담아드립니다’ 진행
공주-공주시청소년문화센터(관장 이미경)는 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청소년 자기주도(프로젝트) 봉사활동 ‘청·세·담 - 청소년이 세월을 담아드립니다’가 진행됐다고 밝혔다.이번 프로그램은 청소년이 직접 카메라에 대한 기본 교육 및 촬영 실습을 통해 기술을 익히고, 지역사회 어르신들에게 그 재능을 활용해 장수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장수 사진을 찍어드리는 활동이다. 공주시노인종합복지관 어르신 60명을 상대로 촬영이 진행됐으며, 촬영된 사진은 액자에 담아 올해 9월 중 장수 사진 전시회가 진행될 예정이다.공주시청소년문화센터 이미경 관장은 “앞으로도 청소년들이 건전한 인성을 갖추며 성장할 수 있도록 세대가 소통할 수 있는 지역 중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겠다”고 말했다.공주시청소년문화센터는 한국B.B.S공주지회가 수탁 운영하고 있으며, 청소년 활동 활성화 및 문화적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및 각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청소년 수련시설에 대한 인지도 향상 및 청소년 문화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소개충청남도여성가족청소년사회서비스원 청소년활동진흥센터는 충청남도 조례에 따라 청소년 활동, 자원봉사, 국제 교류 및 복지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통합 서비스 기관이다.웹사이트: http://cnyouth.or.kr/
-
인천시-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2023년 청년창업 경진대회 ‘Start-up Digging Contest’ 개최
인천-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인천센터, 센터장 이한섭)는 2023년 청년창업 경진대회 ‘Start-up Digging Contest’(이하 스.디.콘)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스.디.콘’은 기술 기반의 참신한 창업 아이템을 보유한 청년 창업가를 대상으로 IR 컨설팅 지원과 상금을 시상하는 전국 단위의 청년 스타트업 경진대회다.창업 경진대회 과정을 방송으로 송출해 경진대회에 참가한 우수 기업에 홍보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신청 기간은 7월 24일부터 8월 25일까지이며, 모집 대상은 전국 만 39세 미만 예비 창업자 또는 7년 미만 청년 창업가다.인천광역시 거주자 및 본점 소재지가 인천인 창업자는 서류 평가 시 우대 가점이 부여된다.예선 평가(서류 및 발표)를 통해 선발된 최종 6개사는 IR 컨설팅을 통해 스피치 역량 강화 및 피치덱 작성을 지원받고, 올해 10월 개최 예정인 본선 리그에서 발표 평가를 통해 총 4600만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입상한 청년 창업가를 대상으로 △대상 인천광역시장상 및 1500만원(1개사) △최우수상 인천광역시장상 및 800만원(2개사) △우수상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장상 및 500만원(3개사)의 상장과 상금을 수여할 예정이다.후속 연계 지원으로 인천센터의 보육 기업 등록 추천을 통해 입주 공간 제공, 직접 투자 검토, 각종 추천서 발급 등의 혜택이 주어질 예정이며, 2024년도 청년 해외진출기지 지원 사업의 서류 평가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 이한섭 센터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우수한 청년 창업가의 발굴을 기대하며, 참신한 아이디어 가진 청년 창업가들이 사업을 홍보할 기회의 장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웹사이트: https://ccei.creativekorea.or.kr/incheon...
-
서울그린트러스트, 청소년 1135명의 마음 건강 회복 위한 초록키트 지원
서울-코로나19 이후 불안 장애와 우울감 등 심리/정서적 문제를 호소하는 청소년과 청년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그린트러스트(이사장 지영선)는 식물을 통해 청소년과 청년들의 정서적 회복을 돕는 사업을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여성가족부가 발표한 ‘2023 청소년 통계’에 따르면, 2022년도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감 경험률은 각각 41.3%, 28.7%로 전년 대비 2.5%, 1.9% 증가했고,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 청소년은 학업 등의 이유로 생활권 도시숲 이용이 가장 낮은 연령대에 속한다. 이를 위해 서울그린트러스트는 경동제약의 후원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녹색 복지에서 소외된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들의 정서 회복을 위해 식물 가드닝 키트를 지원하는 ‘초록키트 지원사업’ 공모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전국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39개 기관에 1135개의 초록키트를 지원했다.2023년 서울그린트러스트 초록키트 지원사업은 식물을 처음 다뤄보는 청소년들이 식물에 꾸준히 애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췄다. 씨앗을 심어볼 수 있는 화분과 흙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반려 식물에 이름을 적어볼 수 있는 이름표, 식물의 성장을 기록해 볼 수 있는 활동지를 동봉해 반려 식물에 계속 애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왔다.실제로 키트를 지원받은 기관 담당자들은 독립 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던 한 청소년이 씨앗이 자라나는 과정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힐링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비롯해 학교에 자주 결석하던 학생들이 식물을 보기 위해 아침마다 복지실에 방문하며 결석이 감소하고 무기력함이 완화됐다는 후기를 들려주기도 했다.또 서울그린트러스트는 초록키트 사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선정 기관 가운데 교육 프로그램을 희망하는 기관 5곳에 전문 강사를 파견해 초록키트를 활용한 가드닝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단순히 화분에 씨앗을 심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회성 프로그램이 아닌, 자라난 씨앗을 큰 화분에 옮겨주는 과정까지 포함한 2회 차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이렇게 씨앗을 심고 키우는 과정에서 참가자들과 마음을 나누고 소통하는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그들의 정서적 및 심리적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사업을 담당한 서울그린트러스트의 이우향 사무국장은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들이 초록키트를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서울그린트러스트는 앞으로도 초록키트 지원사업을 통해 사회적 약자의 녹색 복지를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서울그린트러스트 소개서울그린트러스트는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서울시 생활권 녹지를 확대 및 보존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을 만드는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2003년 생명의숲국민운동과 서울시 간에 서울그린트러스트 협약을 체결해 ‘서울그린비전 2020’을 바탕에 두고 출범했고, 같은 해 5월, 국내 최초로 시민들이 기금을 모으고 나무를 심어 서울숲공원 만들기에 참여함으로써 시민 참여형 공원조성 사례를 실현했다. 이후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서울숲공원을 경영해왔고, 시민과 기업의 자원봉사를 통한 도시숲조성과 도시공원 가꾸기, 녹색문화 캠페인, 학술 행사를 진행하는 등 도시공원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과 도시의 녹색 가치를 실현하는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웹사이트: http://www.greentrust.or.kr
-
-
노바코어, 수출로와 수출 차량 중고 부품 활성화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서울-노바코어(대표 양인석)가 중고차 수출 전문 기업 수출로와 수출 차량의 중고 부품 활성화를 위한 지원 협력 ...
-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남서울대학교와 공동 프로젝트 및 공동 학위 협력 위한 협약 체결
서울-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SMIT, 총장 김광수)는 11월 28일 남서울대학교(총장 윤승용)와 공동 프로젝트 및 공동...
-
한재동 태웅로직스 대표이사, 일회용품 제로 챌린지 동참
서울-종합 물류 서비스 기업 태웅로직스(코스닥 124560)의 한재동 대표이사가 팬오션 안중호 대표이사의 지목을 받...
-
KMCW 한국다문화복지진흥회, 텀블벅에서 FLICT와 컬래버 선보여
안산-KMCW(한국다문화복지진흥회)는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FLICT(플릭트)와 텀블벅에서 첫 컬래버레이션 굿즈 펀딩 ...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 K-애슬레저 최초 말레이시아 1호 매장 개소
서울-디어커머스 기업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각자대표 이수연, 강민준)이 전개하는 액티브웨어 젝시믹스는 국내...
-
HD한국조선해양, 초대형 에탄운반선 2척, 3.4억불 수주
서울-HD현대의 조선중간지주사인 HD한국조선해양이 에탄운반선 수주에 성공하며 가스운반선 시장에서 차별화된 ...
-
경북장애인재활협회, 장애가정아동 성장멘토링 일환 ‘2차 단체문화체험’ 진행
안동-경북장애인재활협회(회장 배외수)는 우정사업본부 및 우체국공익재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의 지원을 받...
-
콜게이트, 현대홈쇼핑 보이는ARS 주문 고객 대상으로 ‘보이는 결제’ 서비스 제공
서울-콜게이트(CallGate, 대표 이강민)가 현대홈쇼핑을 통해 보이는ARS 기반의 결제 솔루션 ‘보이는 결제&...
-
노벨리스-프라하993 저소득 노인들을 위한 ‘사랑의 리어카’ 기증
서울-지속 가능한 알루미늄 솔루션을 공급하는 세계 최대 알루미늄 압연 및 재활용 기업 노벨리스는 부산 수영구...
-
롯데건설 ‘소사역 롯데캐슬 더 뉴엘’ 분양 예정
서울-롯데건설이 11월 경기도 부천시 소사본동 134번지 일원에 위치한 ‘소사역 롯데캐슬 더 뉴엘’ ...
-
바퀜176,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팝업스토어 성황리 종료
서울-브랜드 디벨로퍼 메이커빌(대표 정병준)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서 진행한 바퀜(VAKUEN)의 첫 팝업스토어가 ...
-
OUR GREEN STEP, 아이돌 콘서트에서 최초로 시도하는 탄소발자국 계산
서울-내일의쓰임과 아이오디자인스튜디오가 9월 16일부터 17일까지 서울 고척돔에서 열린 ‘블랙핑크 월드...
-
서울시 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 개소 기념 심포지엄 성황리 마무리
서울-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이하 서울센터)는 10월 18일 서울시 정신응급합동대응센터의 개소 1주년을 기념하...
-
고흥군장애인복지관, 중증 장애인 힐링을 위한 공감과 치유 탐방 진행
고흥-고흥군장애인복지관(송용환 관장)은 올여름부터 10월 16일까지 총 2차로 나눠 지역 내 중증 장애인을 대상으...
-
몰렉스, 전력-신호 회로 통합된 최초의 OCP 호환·올인원 부팅-드라이브 연결 솔루션 ‘킥스타트 커넥터 시스템’ …
리슬, 일리노이-글로벌 전자 제품 리더이자 커넥터 혁신 기업인 몰렉스는 킥스타트(KickStart) 커넥터 시스템을 출...
-
녹십자수의약품, 국경없는 수의사회 베트남 동물 의료봉사 약품 후원
예산-녹십자수의약품은 국경없는 수의사회(VWB, Veterinarians without borders)의 베트남 하노이 해외 동물의료봉사 활동...
-
서울연구원, 개원 31주년 기념 세미나 개최… 미래 서울을 위한 ‘재난관리 전략과 인프라의 역할’ 제시
서울-서울연구원(원장 박형수)은 10월 12일(목) 오후 2시 페럼타워 페럼홀에서 ‘도시의 내일을 준비하다: ...
-
사이버한국외대 TESOL대학원, 한국응용언어학회와 국제학술대회 공동 개최
서울-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원장 이선영)은 한국응용언어학회,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 교...
-
에이수스, NUC 제품군 인수를 위한 인텔과 협약 체결
서울-글로벌 컴퓨팅 전문기업 ASUS의 한국 지사인 에이수스 코리아(지사장: 강인석, 이하 ‘에이수스&rsq...
-
아트뮤, 프리미엄 고속충전케이블 4종 신규 출시
서울-감성 모바일 충전 액세서리 아트뮤(ARTMU)를 운영하는 아트뮤코리아(대표 우석기)가 프리미엄 고속충전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