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아시아 이웃 4개국 희곡, 젊은 연극인 목소리로 처음 만난다… 6월 목요일마다 서울연극센터 무대 오르는 ‘아시아 플레이’ - 서울연극센터, 아시아 희곡 낭독공연 ‘아시아 플레이’ 오는 6일부터 27일까지 무대에 - 일본‧태국‧베트남‧중국 국내 미발표 희곡 8편, 매주 목 오후 6시 30분 국가별로 만난다
  • 김장헌
  • 기사등록 2024-06-03 08:41:12
기사수정

새단장 마친 서울연극센터


‘아시아 플레이’ 포스터


서울-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이창기) 서울연극센터는 국내 미발표 아시아권 희곡을 낭독하는 ‘아시아 플레이(Asia Play)’를 오는 6월 6일(목)부터 27일(목)까지 매주 목요일 저녁 6시 30분 서울연극센터 1층 라운지에서 무료로 선보인다.

국내 청년예술가 8팀이 총 8회의 낭독무대를 선보이는 ‘아시아 플레이’는 일본, 태국, 베트남, 중국 등 아시아 권역의 작품을 매주 국가별 2편씩 낭독공연으로 발표하는 형식으로 이어간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극장르 진입단계 청년예술인을 뜻하는 ‘첫 배우’가 국내 미발표된 텍스트 ‘첫 희곡’을 만나 무대에 설 수 있도록 지원하며, 관객이 낭독공연의 재미를 발견하도록 다양한 라인업을 구성해 준비했다.

△가난한 화가들이 작당해 한 명을 요절한 천재화가로 둔갑시키며 일어나는 에피소드 ‘도모마타의 죽음’(6일, 아리시마 타케오 작/조민영 연출, 일본) △올림픽 출전권을 다투는 수영시합 종료 후 선수들과 도핑 검사원의 관계를 그린 ‘컨트롤 오피서’(6일, 히라타 오리자 작/오세혁 연출, 일본) △태국 ‘팀마삿 학살’ 40주기를 맞아 초연된 고발성 연극 ‘아무데도 없는 곳’(13일, 프리딧 프라사통 작/강훈구 연출, 태국) △계산 불가능한 사랑의 무게를 수학 공식에 빗대어 그린 ‘=3/4’(13일, 수드카능 부라나라차다 작/원지영 연출, 태국) △전통적 가정의 붕괴와 가부장제의 몰락을 풍자하며 왕의 존재를 묻는 ‘왕은 없다’(20일, 응우옌후이티엡 작/김남언 연출, 베트남) △나룻배로 강을 건너다 얽힌 사건에서 인간에 관한 담론 탐구로 이어지는 ‘강 건너기’(20일, 응우옌후이티엡 작/연지아 연출, 베트남) △부유한 회장의 후원을 받기 위해, 의미 있던 순간을 연출하며 일어나는 사건을 그리는 ‘회장님의 일생’(27일, 리진웨이 작/이준우 연출, 중국) △인생은 어떤 선택이든 같은 길을 가게 된다는 메시지를 담은 ‘당신의 발톱’(27일, 장위런 작/정철 연출, 중국) 등 8편이 차례로 이어진다.

라인업에 선정된 아시아 희곡들은 무대에서 대본의 확장성과 아시아 연극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관객은 다양한 국가의 희곡을 비교 관람하며 자본주의의 첨병이자 식민통치와 냉전으로 얼룩진 역사를 기억하는 아시아의 현재를 두루 돌아볼 수 있다. 무대에 오르는 예술가들은 각국의 모순을 들여다보며 아시아 청년으로서의 유사점을 찾고, 평등과 민주주의 등 가치를 살피며 공유하는 매개로서의 연극을 실험한다.

‘아시아 플레이’는 연극장르 청년예술가 모임 ‘청년예술가네트워크’(대표 김남언)가 올해 서울연극센터에서 진행한 워크숍 ‘프로젝트 3일’을 계기로 시작됐다. 만 39세 이하 연극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3일’은 신진 배우 100여 명이 6명의 연출가를 만나 연습과 토론 등을 거쳐 공연을 발표하는 자리였다. 서울연극센터는 프로젝트가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다음 단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강훈구, 김남언, 오세혁 등 참가 연출가들과 함께 이번 무대를 마련했다. 서울연극센터가 신진 극작가를 발굴하고 젊은 창작자들의 네트워킹 플랫폼 역할을 하기 위해 지난 5년 동안 운영했던 ‘10분 희곡 페스티벌’의 뒤를 잇는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아시아 플레이’는 서울연극센터가 올해 처음 시도하는 공공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청년예술가와 함께하는 이번 공공프로젝트 ‘봄’에 이어 오는 11월에는 중장년 예술가 대상의 ‘가을’이 예정돼 있다. 모든 공연은 네이버 예약을 통해 무료로 사전 예약할 수 있으며, 당일 현장 관람도 가능하다.

서울문화재단 소개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의 문화예술 진흥과 시민의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04년 3월 15일 설립됐다. ‘문화와 예술의 다양한 가치를 발현하고 시민과 함께 공감하는 선도적 문화예술기관’이라는 비전 아래 문화예술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fac.or.kr


<저작권자 © 포커스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ocusmagazine.kr/news/view.php?idx=187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뉴스오늘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정부24
리스트페이지_004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