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김미혜
  • 기사등록 2024-06-04 08:18:01
기사수정

‘데이터 과학의 힘을 활용한 환자 치료의 혁신’ (Revolutionizing patient care through the power of data science)이라는 슬로건을 필두로 EAACI (유럽 알레르기 및 임상 면역학회)국제 학술대회가 개막했다


발렌시아-‘데이터 과학의 힘을 활용한 환자 치료의 혁신’(Revolutionizing patient care through the power of data science)이라는 슬로건을 필두로 EAACI (유럽 알레르기 및 임상 면역학회) 국제 학술대회가 개막했다. 앞으로 4일간에 걸쳐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영향력 있는 분야의 최신 발전 현황을 논의하게 된다. 이 중 중요한 공중 보건 이슈에 해당하는 알레르기는 다양한 질환을 포괄한다.

특히 약물 알레르기는 심각한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커다란 부작용 증상이다. EAACI의 Maria Jose Torres는 “항생제, 특히 페니실린이나 그 유도체 등이 알레르기 반응을 가장 자주 일으키는 약물에 해당한다”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방사선 조영제, 화학요법제도 그 같은 반응의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고 설명했다.

천식의 경우 특히 비만과 동반됐을 때 적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관련해 EAACI 학술대회 과학 프로그램의 공동의장인 André Moreira는 “(비만과 천식처럼) 일상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이 두 가지 건강 질환은 삶의 질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강조한다.

또 다른 주요 토픽은 알레르기 치료의 진전 현황이다. EAACI의 회장인 Stefano Del Giacco는 “정밀 의학 분야에서 알레르기 민감성 증가와 관련된 유전적 변이 파악과 특정한 바이오마커 사용으로 일부 유형의 알레르기 관리가 개선됐고 한층 맞춤화된 치료법 개발이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학술대회 과학 프로그램의 또 다른 공동의장인 Mübeccel Akdis는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에 대한 면역 요법의 적용 분야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는 환자의 면역학적 프로필을 기반으로 한 경구 요법이나 개인 맞춤형 백신과 더불어 식품 알레르기 분야에도 적용이 된다”고 덧붙였다.

EAACI 학술대회 부회장인 Mohamed Shamji는 “알레르기학 분야의 빅데이터는 대량의 임상, 유전, 환경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위험 요인 및 알레르기 패턴을 규명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고 밝혔다. AI도 임상데이터의 고차원적 분석을 통해 알레르기 진단의 향상, 치료 표적의 식별, 분자 최적화 등에 도움을 줌으로써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Shamji 부회장은 “어려운 점이 없는 건 아니지만 지금이야말로 정말 전도유망하고 굉장한 시기임에는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유럽 알레르기 임상 면역학회 소개

유럽 알레르기 임상 면역학회(EAACI)는 임상의와 연구자, 관련 의료 전문가로 구성된 비영리 단체로, 알레르기 질환에 걸린 사람들의 건강 개선을 목표로 다각도의 연구활동을 진행 중이다. 124개국 1만5000명 이상의 회원과 50개국 이상의 알레르기 학회와 함께 알레르기 질환 개선책 마련에 전념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eaaci.org


<저작권자 © 포커스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focusmagazine.kr/news/view.php?idx=1874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뉴스화제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정부24
리스트페이지_004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